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rver

(66)
[Linux] 리눅스 OS 덤프 생성 명령어 1. strace Dump- 시스템 호출과 시그널을 추적하는 도구입니다. 주로 프로세스가 어떤 시스템 콜을 호출하고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현재 경로에 파일 생성)$ strace -o [파일명] -p [PID] 2. Core Dump- core dump는 프로그램이 크래시 될 때 메모리 상태를 저장한 파일입니다. 디버거(gdb)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가 종료되면서 덤프 생성되며, /var/lib/systemd/coredump 경로에 덤프 생성)# Core Dump 활성화$ ulimit -c unlimited# Core Dump 생성$ systemctl status systemd-coredump.socket$ kill -6 [PID] 3. Crash dump - crash dump는..
[Linux] 리눅스 OS 업그레이드시 고려사항 Linux OS를 업그레이드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업그레이드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철저한 계획과 준비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Linux OS 업그레이드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입니다: 1. 업그레이드 전 준비  - 백업: 업그레이드를 시작하기 전에 시스템 전체를 백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모든 데이터를 외부 드라이브나 클라우드에 백업하여, 만약의 경우에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시스템 요구사항 확인: 새로운 버전이 기존 하드웨어와 호환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새로운 릴리스는 특정 하드웨어나 드라이버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디스크 공간 확인: 업그레이드를 위해 필요한 디스크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새로운 버전이 더 많은 공간을 ..
[Linux] 리눅스 /var/log/btmp, wtmp, lastlog 의 파일의 권한이 변경되지 않는 이유 리눅스 /var/log/btmp, wtmp, lastlog 의 파일의 권한이 변경되지 않는 이유리눅스에서 btmp, wtmp, lastlog 파일은 시스템의 로그인 및 인증 기록을 저장하는 중요한 파일들입니다. 이 파일들의 권한이 변경되지 않는 이유는 주로 보안상의 이유와 시스템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파일과 권한이 변경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겠습니다. 1. /var/log/btmp: - 이 파일은 로그인 실패 기록을 저장합니다. 2. /var/log/wtmp: - 이 파일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고 로그아웃한 기록을 저장합니다. 3. /var/log/lastlog: - 이 파일은 각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을 저장합니다. btmp, wtmp, lastlog 로그 파일에..
[Linux] 리눅스 서버 하드웨어 정보 확인 방법 리눅스 서버 하드웨어 정보 확인 방법리눅스 서버 컴퓨터의 하드웨어 제조사, 모델명, 시리얼번호, 프로세서, 메모리, 바이오스 와 같은 정보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dmidecode입니다.  [테스트된 환경]∙ AlmaLinux 9 : dmidecode 3.5 ∙ Rocky Linux 9 : dmidecode 3.5 1. dmidecode 소개  ∙ 시스템의 BIOS, 마더보드,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 이 명령어는 시스템의 DMI (Desktop Management Interface)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표시합니다.  ∙ DMI는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의 구성 요소(예: 메모리, CPU, 하..
[Linux] 리눅스 루트 계정 접근시 /usr/bin/su: Permission denied 발생 리눅스에서 사용자가 su - 으로 루트 계정 접근시 /usr/bin/su: Permission denied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su -- bash: /usr/bin/su : Permission denied 사용자가 su - 를 사용할 수 있도록 su 접근을 허용해야한다.$ chmod 4755 /usr/bin/su$ chown root.wheel /usr/bin/su$ ls -altr /usr/bin/su -rwsr-xr-x root wheel /usr/bin/su ※ chmod 4755를 사용하는 이유su 의 password 입력 시, 잠시 root 권한을 가지고 shadow 패스워드와 비교를 하게 되는데, 755일 경우 shadow 파일을 읽어내지 못함기본적으로 shadow 파일은 아무 권한도..
[Linux] while문을 이용한 일정 시간마다 명령어 반복 실행 while문을 이용한 일정 시간마다 명령어 실행$ while true; do date >> test.txt; nc -zv 1.1.1.1 80 2>> test.txt; sleep 1; done [명령어 설명]1. while true; do ... done:  - while true는 무한 루프를 시작합니다. true는 항상 참(True)을 반환하는 명령어이므로 이 루프는 종료되지 않고 계속 반복됩니다.  - do ... done 사이에 있는 명령어들은 루프가 반복될 때마다 실행됩니다. 2. date >> test.txt: - date 명령어는 현재 날짜와 시간을 출력합니다.  - >> test.txt는 그 출력 결과를 test.txt 파일에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test.txt 파일 끝에 현재 날..
[UNIX] AIX 프로세스 확인 1. 메모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10개의 프로세스 나열(%MEM) ps aux | head -1; ps aux | sort -m +3 | head   2. 프로세스 추적 (lsof 명령어) lsof -i TCP:[port] PID 값 확인 후 프로세스 추적 ps -ef | grep [PID 값]   3. AIX 사용중인 포트의 프로세스 확인 netstat -Aan | grep [port] | grep LIS rmsock [1열 프로세스 값] tcpcb ps -ef | grep [PID값]
[Linux] top 명령어 top 명령어를 통해서 메모리, CPU 사용량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 및 전체 명령어 경로 표시 1. top 명령어를 실행 후 m을 눌러 메모리 사용량 순으로 정렬top(Press m to sort by MEM usage) 2. top 명령어를 실행 후 p를 눌러 CPU 사용량 순으로 정렬top(Press p to sort by CPU usage) 3. top 명령어를 실행 후 c를 눌러 전체 명령어 경로 표시top(Press c to sort by full command lin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