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 대상 서버의 방화벽 오픈 확인 1. telent [IP] [PORT] - 텔넷으로 IP, port를 명시하면 해당 서버에 저 포트가 열려 있는지 간단히 확인 가능합니다. $ telnet 127.0.0.1 10002 Trying 127.0.0.1... telnet: 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 Connection refused $ telnet 127.0.0.1 22 Trying 127.0.0.1... Connected to 127.0.0.1. Escape character is '^]'. SSH-2.0-OpenSSH_7.6p1 Ubuntu-4ubuntu0.1 ^C^] telnet> quit Connection closed. 2. echo > /dev/tcp/IP/PORT - 보안 문제로 telnet 사용..
[CloudTrail] 90일 지난 CloudTrail 로그 확인 CloudTrail 콘솔을 사용하면 최근 90일간 기록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콘솔에서 이벤트를 90일까지 밖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 CloudTrail를 생성할 때 S3에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CloudTrail 이란? AWS 계정의 거버넌스, 규정 준수, 운영 감사, 위험 감사를 지원하는 서비스로 CloudTrail을 사용하면 AWS 인프라에서 계정 활동과 관련된 작업을 기록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보관할 수 있습니다. CloudTrail은 AWS Management Console, AWS SDK, 명령줄 도구 및 기타 AWS 서비스를 통해 수행된 작업을 비롯하여 AWS 계정 활동의 이벤트 기록을 제공하고 이러한 이벤트 기록을 통해 보안 분석, 리소스 변경 추적, ..
[Kubernetes] 설치 없이 쿠버네티스 사용하기 1. 카타코다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 https://www.katacoda.com/courses/kubernetes/playground Kubernetes Playground | Katacoda Use Kubernetes in a hosted sandboxed interactive environment www.katacoda.com - Master, node1이 구성되어 있어 바로 사용 가능 2. Play with Kubernetes - docker 에서 제공. docker hub 계정으로 로그인 - https://labs.play-with-k8s.com/ Play with Kubernetes Play with Kubernetes is a labs site provided by Docker and ..
[Kubernetes] Ubuntu 쿠버네티스 설치 방법 Ubuntu 리눅스에 쿠버네티스 설치 방법에 대한 내용이 잘 설명된 유튜브 강의이다. 아래 유튜브 설명대로 따라하면 쿠버네티스 설치를 충분히 할 수 있다. Ubuntu20.04 에 Kubernetes 설치하기(1) https://www.youtube.com/watch?v=CKUv3oEI8Yo Ubuntu20.04 에 Kubernetes 설치하기(2) https://www.youtube.com/watch?v=V5-h3yvCOSA&t=1s Ubuntu20.04 에 Kubernetes 설치하기(3) https://www.youtube.com/watch?v=5Y847xaXe7U
[Linux]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방법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시 yum update 명령을 이용할 경우 전체 시스템 업데이트가 되어서 실제 구동되는 S/W의 버전 호환성 등 이슈가 생길 가능성이 많다. 특정 패키지만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 아래 명령과 같이 진행하면 된다. # 특정 패키지만 설치 yum update [패키지명] # 특정 패키지를 제외하고 설치 yum update --exclude [패키지명] # 특정 kernel만 업데이트 하는 경우 yum update kernel* # java와 kernel을 제외하고 업데이트 하는 경우 yum update --exclude kernel* *java*
[Python] 자료형을 이용한 자료관리 1. 시퀀스(Sequences) 파이썬의 Sequences 자료형 - 문자열, 수치 등을 관리하는 기본 자료형 - String, Tuples, Lists 등의 종류가 있음 특징 - 문자열, 수치 등을 나열해서 관리하는 배열 형식을 가짐 - 인덱싱(indexing)을 이용하여 저장된 자료의 위치를 참조해서 활용 - 특정 구간의 자료를 리턴할 수 있는 슬라이싱 기능을 가짐 - 자료를 연결하거나 반복할 수 있는 +, * 연산자를 이용함 - 인(in) 키워드를 이용하여 어떤 값이 시퀀스 자료에 속해 있는지 확인함 문자열 인덱싱 - 문자열은 각 한 문자씩을 인덱스를 가지고 0부터 나열형으로 관리 - 역순으로는 -(음수) 값을 가진 인덱스로 매핑됨 - 호출은 문자 변수[인덱스]로 호출하면 값을 리턴함 문자열 슬라이..
[Kubernetes] 쿠버네티스 소개 1. 쿠버네티스란? -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배포, 확장 및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오픈소스 시스템 2. 쿠버네티스 개발 배경 - 도커는 컨테이너를 규모에 맞게 늘려가도록 배치하는 기능이 부족 -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오케스트레이터를 구글이 개발 - 구글은 내부 서비스를 클라우드와 컨테이너 환경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 - 구글이 2014년 6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발표 - 2015년 7월 버전 1.0을 기반으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을 설립 - 레드햇, 이베이, AT&T, 시스코, IBM, 인텔, 트위터, VMware 등 다수 회사 참여 개발 ※ 쿠버네티스 공식페이지 https://kubernetes.io/ Kubernetes Run K..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파일은 파일 시스템 계층 주고로 알려진 반전된 단일 디렉토리 트리로 구성된 파일시스템에 저장됩니다. / 디렉토리는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의 최상단에 있는 루트 디렉토리 입니다. / 문자는 파일 이름에서 디렉토리 구분자로도 사용됩니다. /의 하위 디렉토리는 파일을 유형 및 목적에 따라 구성하기 위한 표준화된 목적에 사용됩니다. 리눅스 중요 디렉토리 위치 목적 /usr 설치된 소프트웨어, 공유 라이브러리, 포함된 파일 및 정적 읽기 전용 프로그램 데이터 중요한 하위 디렉토리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usr/bin : 사용자 명령 - /usr/sbin : 시스템 관리 명령 - /usr/local : 로컬 사용자 지정 소프트웨어 /etc 시스템 고유의 구성 파일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