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Linux (52)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NFS server responding time out 에러 NFS (Network File System)에서 "server responding time out" 오류는 클라이언트가 NFS 서버와의 통신에서 시간 초과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인1. 네트워크 문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서버 부하: - NFS 서버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리소스가 부족하여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3. NFS 설정 문제: - 잘못된 NFS 설정(예: export 설정)으로 인해 클라이언트 요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4. 방화벽 설정: -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서 방화벽이 NFS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5. 서버 재시작: - NFS 서.. [Linux] nohup: ignoriing input and redirecting stderr to stdout 1. 에러현상- nohup: ignoriing input and redirecting stderr to stdout 경고 메시지 발생 2. 해결방안- 스크립트 shell에서 2>&1 추가 [Linux] swap 비활성화 swap 비활성화 (Ubuntu 18.04) 1. 현재 동작중인 swap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해 swapoff 명령을 사용한다. 1. /etc/fstab 파일을 열어서 swap을 비활성화 시킨다. swapon -s : 현재 스왑 적용 상태를 확인 swapoff -a : 운영중인 모든 스왑을 해제하기 root@node1:~# swapon -s Filename Type Size Used Priority /dev/xvda2 partition 2097148 0 -2 root@smubuntu:~# swapoff -a root@smubuntu:~# swapon -s root@smubuntu:~# 2. 다음번 부팅시에 스왑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도록 구성해야한다. 아.. [Linux] nslookup 명령어 실행이 안되는 현상 리눅스 환경에서 서버 dns(/etc/resolv.conf) 설정이 안되어 있는 경우, nslookup 으로 도메인 조회시 실행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경우 아래와 같이 도메인과 dns ip를 함께 사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 nslookup [도메인] [dns 서버 ip]$ nslookup test.com 123.123.123.123 [Linux] sftp로 파일 업로드시 umask 참조 계정의 .profile에 umask 등록 후 파일 생성 → umask 적용 확인 그러나, sftp로 해당 계정 접속 후 파일 업로드시 해당 umask 참조 불가 → /etc/security/user 내 파일의 해당 계정 umask 설정 필요 [Linux] umount: target is busy umount: target is busy 오류는 Linux에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해제하려고 할 때, 해당 파일 시스템이 현재 사용 중일 때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일 시스템 사용 중인 프로세스 확인: lsof (List Open Files) 또는 fuser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확인합니다.$ lsof +D /mount/point$ fuser -m /mount/point 2. 프로세스 종료 : 위에서 확인한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해당 프로세스가 파일 시스템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합니다.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는 kill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kill 여기서 는 해당 프로세스 ID입니다. 프로세.. [Linux] for문을 활용한 디렉토리별 용량 확인 for문을 활용한 디렉토리별 용량 확인 $ ls -al | grpe ^d $ ls -al | grep ^d | awk '{print $9}' > test.txt $ for i in `cat test2.txt` > do > du -sk ./$i >> test2.txt > done $ cat test2.txt [Linux] udev 데몬이란? udev 데몬이란? "udev 데몬은 리눅스 커널을 위한 장치 관리자로 시스템 장치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udev 데몬 삭제시 OS 다운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보안 취약점 조치시 제외 필수" 리눅스 시스템에서 udev는 "유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데몬입니다. "udev"는 "유저 디바이스"의 약자로, 리눅스 커널에서 발견된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합니다. 이는 하드웨어 장치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 해당 이벤트에 대한 반응을 담당합니다. 기본적으로 udev는 디바이스 관리 및 관련된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작업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연결하면 udev는 해당 장치를 감지하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인식합니다. 마찬가지로, 이더넷 .. 이전 1 2 3 4 5 6 7 다음